📌 시놀로지 NAS 처음 연결 및 설정 방법 (초보자용)

2025. 3. 11. 02:05·가정용 NAS/설정
목차
  1. 🔹 1. NAS 설치 및 기본 연결
  2. 🔹 2. NAS 초기 설정 (DSM 설치하기)
  3. 🔹 3. 볼륨 및 저장소 설정
  4. 🔹 4. 네트워크 및 원격 접속 설정
  5. 🔹 5. 파일 공유 및 백업 설정
728x90
반응형

NAS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인 연결부터 초기 설정까지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. 하나씩 차례대로 따라 하면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 😊


🔹 1. NAS 설치 및 기본 연결

1️⃣ NAS와 공유기 연결하기

  • NAS를 전원 어댑터에 연결하고 전원을 켬.
  • 랜 케이블을 이용해 NAS의 LAN 포트와 공유기의 LAN 포트를 연결.
  • PC 또는 스마트폰을 같은 공유기에 연결 (Wi-Fi 또는 유선).

2️⃣ 하드디스크(HDD) 장착 (하드 미포함 제품의 경우)

  • 전면 베이를 열고 NAS 전용 HDD(예: WD Red, Seagate IronWolf)를 삽입 후 고정.
  • 베이를 닫고 전원을 켬.

🔹 2. NAS 초기 설정 (DSM 설치하기)

1️⃣ NAS 찾기 (IP 주소 확인)

  • 웹 브라우저를 열고 http://find.synology.com 입력.
  • 자동으로 NAS를 검색하여 목록에 표시됨.
  • 또는 Synology Assistant 프로그램(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)으로 NAS를 찾을 수도 있음.

2️⃣ DSM 운영체제 설치하기

  • "설정 시작" 버튼 클릭 → "DSM 설치" 진행.
  • NAS에 설치할 DSM(운영체제) 버전이 자동 다운로드됨.
  • 설치 완료 후 NAS가 자동으로 재부팅됨.

3️⃣ 관리자 계정 생성

  •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(나중에 NAS 로그인할 때 필요).
  • "다음" 클릭 후 설정 완료.

🔹 3. 볼륨 및 저장소 설정

NAS는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**볼륨(Volume)**으로 설정해야 합니다.

1️⃣ 저장소 관리자(Storage Manager) 실행

  • DSM 홈 화면에서 [저장소 관리자] → [저장소 공간] 클릭.
  • 새 볼륨 만들기 클릭.

2️⃣ RAID 방식 선택 (2베이 이상 NAS의 경우)

  • RAID 0: 빠르지만 데이터 보호 없음.
  • RAID 1: 하드디스크 2개 중 1개가 고장 나도 데이터 보호됨 (추천).
  • SHR (Synology Hybrid RAID): 자동 최적화 (초보자 추천).

3️⃣ 포맷 및 볼륨 생성

  • 파일 시스템을 Btrfs (추천) 또는 EXT4 선택.
  • 초기화 후 볼륨 생성 완료.

🔹 4. 네트워크 및 원격 접속 설정

1️⃣ NAS 내부 IP 고정 (권장)

  • DSM → 제어판 → 네트워크 →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  • NAS의 내부 IP 주소를 고정값으로 설정 (192.168.0.100 등).

2️⃣ 포트 포워딩 설정 (외부에서 접속하려면 필요)

  • 공유기 설정 (192.168.0.1 접속) → 포트 포워딩 설정.
  • DSM 접속을 위해 5000~5001 포트 열기.

3️⃣ QuickConnect 설정 (쉬운 원격 접속 방법)

  • DSM → 제어판 → 외부 액세스 → QuickConnect
  • 시놀로지 계정 생성 후 QuickConnect ID 설정 (yourNAS.quickconnect.to).
  • 외부에서도 브라우저에서 QuickConnect 주소 입력하면 접속 가능!

🔹 5. 파일 공유 및 백업 설정

1️⃣ 공유 폴더 생성

  • DSM → 파일 서비스 → 공유 폴더에서 새 폴더 만들기.
  • 사용자 계정별 권한 설정 가능.

2️⃣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접속하기

  •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\\NAS-IP주소 입력.
  • 스마트폰에서는 Synology Drive, DS File 앱을 사용해 접속.

3️⃣ 자동 백업 설정 (중요한 파일 보호!)

  • Synology Drive 또는 Hyper Backup 앱을 이용해 PC/스마트폰 파일 자동 백업 설정.

✅ 최종 정리: 설정 순서 한눈에 보기

1️⃣ NAS 전원 연결 & 공유기 연결
2️⃣ 하드디스크 장착 후 전원 켜기
3️⃣ 브라우저에서 find.synology.com 접속 → DSM 설치
4️⃣ 관리자 계정 생성 → 볼륨(RAID) 설정
5️⃣ 고정 IP, 포트포워딩, QuickConnect 설정 (원격 접속용)
6️⃣ 공유 폴더 생성 및 파일 백업 설정

🎉 이제 NAS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! 🚀
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하세요! 😊

728x90
반응형

'가정용 NAS > 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TIME 공유기에서 시놀로지 NAS 설정 방법  (0) 2025.03.11
  1. 🔹 1. NAS 설치 및 기본 연결
  2. 🔹 2. NAS 초기 설정 (DSM 설치하기)
  3. 🔹 3. 볼륨 및 저장소 설정
  4. 🔹 4. 네트워크 및 원격 접속 설정
  5. 🔹 5. 파일 공유 및 백업 설정
'가정용 NAS/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IPTIME 공유기에서 시놀로지 NAS 설정 방법
날kim
날kim
안녕하세요. 테크 지식과 취미를 같이 공유해봐요.
  • 날kim
    Tech & Hobby
    날kim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반응형
    300x250
    • 분류 전체보기 N
      • 가전제품 N
      • 컴퓨터
        • 키보드
        • 마우스
        • 본체
        • 주변기기
      • 가정용 NAS
        • NAS 소개
        • 설정
      • 게임
        • 닌텐도
        • 플스
        • 스팀
        • Smart glass
      • 인천지역
      • 행사
      • 쇼핑 N
      • 생활지식
  • 인기 글

  • 링크

    • 스마트쇼퍼
    • 이번 주 일기장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4
날kim
📌 시놀로지 NAS 처음 연결 및 설정 방법 (초보자용)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